반응형
정산도 없이 폐업하고 직원은 모두 퇴사
9년동안 거래했는데 하루 아침에 패닉~~~
입점업체들은 정신없이 이곳 저곳 전화해도 전화도 안받고 하루종일 정신없었습니다.
고소해야 하나.고소장인가?횡령죄인가
날씨도 왜그리 갑자기 비가 많이오는지
내눈물인가?
도대체 무슨일인지
왜 아무말도없이
정산없이 폐업하는지 한심스럽고 개탄스럽다

아래는 대처방안이라 하는데 아무도움도 현실에서는 되지않는다.당장 정산이 되어야 할 금액이 통장에 안들어오니 큰일이다.
1. 초기 대응
- 상황 파악:
- 업체의 폐업 여부를 공식적으로 확인합니다. 공지, 이메일, 소셜 미디어 등을 통해 확인합니다.
- 다른 입점업체들과 연락하여 동일한 상황에 처했는지 확인합니다.
- 법적 조치 검토:
- 즉시 법률 자문을 구하여 가능한 법적 조치를 확인합니다.
- 회사의 등록된 주소나 대표자 연락처를 확인하여 법적 문서를 보낼 준비를 합니다.
2. 법적 대응
- 내용증명 발송:
- 폐업이나 잠적한 업체에 내용증명을 보내어 정산 및 미지급 금액을 요청합니다. 법적으로 중요한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.
- 법원에 소 제기:
- 미지급 금액에 대해 민사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. 이 과정에서 변호사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- 회생 절차가 진행 중인 경우, 해당 절차에 참여하여 채권자로 등록합니다.
3. 협력과 네트워킹
- 다른 입점업체들과 협력:
- 비슷한 상황에 처한 다른 입점업체들과 협력하여 공동 대응합니다. 집단 소송을 검토할 수 있습니다.
- 피해 사례를 모아 언론에 알리거나 소셜 미디어에 공유하여 여론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.
4. 금융적 대응
- 회계 정리:
- 손실된 금액을 회계적으로 정리하고, 필요한 경우 손실보전 대책을 마련합니다.
- 필요한 경우 보험을 통해 보상받을 수 있는지 확인합니다.
5. 향후 예방책
- 계약서 검토:
- 향후 거래 시 계약서를 꼼꼼히 검토하여 정산 조건, 위약금, 법적 대응 절차 등을 명확히 합니다.
- 거래 업체의 재정 상태 및 신뢰도를 사전에 철저히 검토합니다.
- 정기적인 정산:
- 가능하다면 정기적으로 소액이라도 정산을 받아 재정적 리스크를 줄입니다.
- 대체 판매 채널 확보:
- 한 곳에만 의존하지 않고, 다양한 판매 채널을 확보하여 리스크를 분산시킵니다.
요약
- 법률 자문: 상황을 파악하고 법적 대응을 준비.
- 협력: 다른 입점업체들과 협력하여 공동 대응.
- 금융 관리: 손실을 정리하고 대책 마련.
- 미래 대비: 계약서 검토 및 대체 채널 확보.
이러한 단계들을 통해 상황을 최대한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